호이 블로그 이번 포스팅은 비트코인 백서 원본 및 한글 버전(업비트) 다운로드 및 영문 버전 해석을 해보겠습니다. 비트코인 백서는 2008년 10월 사토시 나카모토가 발표한 논문으로서, 비트코인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비트코인은 전자 화폐 시스템으로 개인 대 개인(P2P)으로서, 중개인을 포함하지 않고 온라인 거래가 가능하게 되며, 이중 지불(double spending)을 방지하는 작동 원리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1.비트코인 백서 다운로드 및 해석
(1) 도입 (Introduction)
기존 금융 시스템은 금융기관과 같은 중개인이 결제를 중재하며, 신뢰(trust)를 기반으로 운영됩니다.
문제점
- 거래 수수료가 높으며, 처리 시간이 길다.
- 금융 기관은 고객 정보를 요구하여 개인 정보의 보호가 어렵다.
- 결제 취소, 환불이 가능하여 사기가 발생 가능성이 있다.
- 낮은 단위의 소액 결제가 어렵다
해결
신뢰(trust) 대신 암호학 증명(cryptographic proof) 기반으로 거래 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P2P(개인 대 개인) 방식으로 중앙 기관 없이 거래 검증하여, 블록체인 활용으로 모든 거래를 기록함으로써 신뢰 문제를 해결합니다.
(2) 거래 검증 (Transactions)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에게 디지털 서명을 이용해 코인을 이전 합니다.
거래 방식
- 철수가 영희에게 비트코인을 이전 할 때, 철수의 이전 거래 해시 값 + 영희의 공개 키를 디지털 서명하여 새로운 거래 생성을 합니다.
- 거래 내역은 P2P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파됩니다.
- 모든 내역은 공개되어, 블록체인을 통해 거래 내역 검증을 할 수 있습니다.
해시 값(Hash Valaue)
입력된 데이터(문자열, 숫자, 파일)를 문자열로 변환한 값입니다.
이중 지불 문제 해결 방법
기존 금융 시스템은 은행이 거래 기록을 하여 이중 지불을 방지하지만, 비트코인은 공개 장부(블록체인)를 통하여 거래 발생시 네트워크 전체가 이를 기록하여 중복된 거래가 존재할 수 없도록 보장합니다.
(3) 타임스탬프 서버 (Timestamp Server)
블록체인은 거래 순서 보장을 위해 타임스탬프(timestamp)를 포함한 블록을 생성합니다.
- 새로운 블록이 생성될 때, 이전 블록의 해시 값과 새로운 거래 정보가 포함됩니다.
- 모든 블록이 체인 형태로 연결되며, 과거 데이터를 위변조할 수 없습니다.
(4) 작업 증명 방식 (Proof-of-Work, PoW)
PoW 설명
새로운 블록을 추가하기 위해선 작업 증명(Proof-of-Work, PoW)이라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PoW 과정
- 채굴자(Miner)는 새로운 블록 생성을 위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해시 값(알고리즘 : SHA-256)을 찾습니다.
- 특정 난이도(difficulty)는 많은 계산 작업이 필요합니다.
- 해시 값을 찾은 노드는 새로운 블록을 네트워크에 추가하여 이에 대한 보상을 비트코인으로 받습니다.
PoW의 역할
- 보안 유지: 해커가 블록 조작을 하려면 후속 블록의 모든 POW를 다시 계산해야 하므로 사실상 불가능하게 됩니다.
- 이중 지불 방지: 가장 긴 체인을 정당한 거래 내역으로 인정하는 원칙을 적용합니다.
- 안정성 확보: 다수의 노드가 PoW에 참여하기 때문에 중앙 기관 없이 거래 검증이 가능합니다.
(5) 네트워크 (Network)
- 새로운 거래 생성시,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거래 정보 방송(broadcast)
- 노드는 거래 검증 후, 여러 거래를 모아 블록(block) 생성.
- 채굴자는 작업 증명(PoW)을 통해 블록을 네트워크에 추가.
- 다른 노드는 새 블록을 검증 후, 기존 블록체인에 연결.
- 가장 긴 블록체인이 정당 거래 내역으로 인정.
- 노드(Node)란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데이터를 저장&검증 역할을 하는 컴퓨터/서버를 의미합니다.
(6) 인센티브 (Incentive)
- 새 블록을 생성한 자에게 비트코인 보상(Block Reward)이 주어짐.
- 거래 수수료(Transaction Fee)를 통해 장기적 보상이 유지됨.
- 반감기: 약 4년마다 비트코인 발행량 50% 감소되어, 결국 거래 수수료가 주요 보상이 됨.
(7) 거래의 간소화
(Simplified Payment Verification, SPV)
네트워크 전체를 가동하지 않고 경량 클라이언트(SPV)를 사용하여 간단히 거래를 검증할 수 있다.
(8) 보안 및 공격 가능성
(Security & Attack Resistance)
1) 51% 공격
- 악의적인 채굴자가 전체 해시파워(해시 계란 능력) 51% 이상 점유하면, 거래 조작 가능성이 있음.
- 현실적으로는 막대한 비용이 들기 때문에 실행이 어려움.
2) 네트워크 안전성
- 정직한 노드들이 네트워크의 51% 이상을 차지하면, 공격자가 네트워크를 조작은 거의 불가능.
- 작업증명(POW)은 시간이 지날수록 많은 채굴자 참여를 유도하여 네트워크를 더욱 안전하게 유지.
3) 해시파워 단위
- 1 H/s (해시/초) = 1초당 1번의 해시 계산
- 1 kH/s (킬로 해시) = 1,000 H/s
- 1 MH/s (메가 해시) = 1,000,000 H/s
- 1 GH/s (기가 해시) = 1,000,000,000 H/s
- 1 TH/s (테라 해시) = 1,000,000,000,000 H/s
- 1 PH/s (페타 해시) = 1,000,000,000,000,000 H/s
- 1 EH/s (엑사 해시) = 1,000,000,000,000,000,000 H/s
(9) 비트코인 백서 정리
암호학적 증명 기반의 디지털 화폐이며, P2P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 블록체인과 작업 증명(PoW)을 활용하여 보안성과 신뢰성을 보장.
- 비트코인 3총사(비트코인, 캐시, SV) 하드포크 비교하기
- 다른 알트 코인 백서 확인은 -> 업비트 사이트 바로가기
미국 관세정책 영향 및 현황(2025년 이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