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스테이킹(Staking)이란?
코인 스테이킹은 코인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스테이킹(예치) 하여 보상을 받는 방식을 의미 합니다. 장기간 투자자에게 유리한 방법으로서, 스테이킹 종류를 알아보며, 상황에 맞는 스테이킹 방법을 추천해보고자 한다. 코인 스테이킹은 지분증명(Proof of Stake, PoS) 기반 블록체인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가 코인을 스테이킹 함으로써, 블록체인 네트워크 합의 과정에 참여하여 보안과 운영에 기여하는 대가로 스테이킹한 사용자는 그에 따른 보상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1. 코인 스테이킹의 원리(POS 작동 원리)
(1) 검증인(Validator) 선정
- 지분증명(PoS) 블록체인에서는 검증인(Validator)에게 스테이킹하여 블록 생성 및 검증하는 역할 수행합니다.
- 검증인은 일정 수량 이상의 코인을 스테이킹해야 하며, 코인을 많이 스테이킹 하게되면 검증자로 선정될 확률이 높아집니다.(이더리움은 검증인이 되려면 32 ETH 이상을 스테이킹해야 합니다.)
(2) 블록 생성 및 검증
- 지분증명(POS) 네트워크는 검증인 중에서 블록 생성자를 랜덤으로 선택합니다.
- 선택된 검증인은 새로운 블록 생성 및 거래 검증을 합니다.
- 다른 검증인들이 해당 블록을 승인하면 체인에 추가됩니다.
(3) 보상 및 패널티
- 검증인은 블록 생성 및 검증의 대가로 스테이킹 양과 기간에 따라 스테이킹 보상(거래 수수료 포함) 을 차등 지급 받습니다.
- 잘못된 검증이나, 네트워크를 공격하게 되면 패널티(Slashing)를 받게 되어, 예치한 일부의 코인이 소각됩니다.
2. 코인 스테이킹 방법
(1) 셀프 스테이킹(Self Staking)
- 블록체인 노드를 운영하여 직접 코인을 스테이킹하는 방식
- 최소 예치량 등이 필요합니다 (ex. 이더리움 32 ETH 이상)
(2) 거래소 스테이킹(Exchange Staking)
- 코인베이스, 바이낸스, 업비트, 빗썸 등의 거래소에서 스테이킹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거래소 내에 있는 코인을 쉽게 스테이킹 가능합니다.
- 거래소에서 일정 수수료의 검증 수수료를 부과할 수 있습니다.(ex. 업비트 10%)
(3) 스테이킹 풀(Staking Pool) 참여
- 여러 사용자가 자금을 모아 노드를 운영하는 방식으로, 소규모 사용자도 참여가 가능합니다.
- 대표적으로 이더리움 2.0 스테이킹 풀(Lido, Rocket Pool)이 있습니다.
(4) 유동성 스테이킹(Liquid Staking)
- 스테이킹한 코인을 담보로 하여 토큰을 새로 발행하여 유동성을 확보하는 방식입니다.
- 스테이킹 후에도 토큰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 예시: Lido의 stETH, Binance의 BETH
3. 주요 스테이킹 가능 코인
| 코인 | 최소 예치량 | 보상율(연) | 스테이킹 방식 |
|---|---|---|---|
| 이더리움(ETH) | 32 ETH | 약 4~5% | 셀프, 스테이킹 풀, 거래소 |
| 카르다노(ADA) | – | 약 3~6% | 셀프, 거래소, 스테이킹 풀 |
| 솔라나(SOL) | – | 약 6~8% | 셀프, 거래소 |
| 코스모스(ATOM) | – | 약 15~20% | 셀프, 거래소 |
| USDC | – | 약 4.1% | 코인베이스 |
4. 코인 스테이킹 장점&단점
(1) 장점
수익성: 스테이킹 함으로써, 보유 코인의 수익을 창출 가능합니다.
에너지 효율성: 채굴장비가 필요 없으며, PoS 방식은 에너지 소비가 적습니다.
네트워크 보안 강화: 스테이킹율이 높을수록 블록체인의 보안성이 향상됩니다.
(2) 단점
락업(Lock-up) 기간: 스테이킹한 코인을 일정 기간 출금할 수 없습니다. 이는 상품 및 거래소 마다 상이합니다. 이로 인하여 단기 투자자는 시장의 변동성에 의해 손해를 입을 수도 있습니다.
스테이킹 리스크: 네트워크 해킹, 패널티(slashing)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5. 코인 스테이킹 시작하기
- 스테이킹 가능한 코인 선택(ETH, ADA, SOL, ATOM 등)
- 스테이킹 방식 선택(셀프, 거래소 등)
- 지갑 또는 플랫폼 준비(메타마스크, 코인베이스, 업비트 등)
코인 스테이킹은 장기 투자자가 코인을 보유하며 추가 수익을 얻고 싶을때 적합합니다. 해당 플랫폼이나 지갑의 안정성 등을 체크 하여 선택해야 하며, 언락기간으로 스테이킹 해지가 바로 불가능 할 수 있으니, 거래 예정인 코인이나, 언락기간 등을 확인하여 결정해야합니다.
“코인 스테이킹 종류 및 추천”에 대한 1개의 생각